카테고리 없음

빅쇼트 실화바탕 부동산투자 영화 후기

투스페어리 2022. 10. 7. 23:24
728x90
반응형

개봉 : 2016.01.21

등급 : 청소년 관람불가

장르 : 드라마

러닝타임 : 130분


1. 빅쇼트 줄거리 및 정보


영화 빅쇼트(The Big Short)는 실화를 기반으로 한 영화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배경으로 이야기가 진행됩니다. 미국 부동산 버블로 인해 발생한 미국 최악의 금융위기인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가 왜 일어나게 되었는지 알려주는 영화인 것이죠. 이 영화는 부동산 가격이 미친 듯이 치솟는 와중에 역으로 부동산 하락에 베팅을 한 4명의 관점에서 이야기를 풀어냅니다. 특히 크리스찬 베일이 받은 역은 최초로 미국 부동산 경제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모두가 상승을 이야기할 때 처음으로 하락에 배팅을 한 인물로 주식이나 부동산 투자에 대해 조금 지식이 있는 분이라면 시작부터 끝까지  굉장히 긴장감 속에 영화를 시청할 수 있습니다. 경제 영화라고 어렵게 느끼는 사람도 있을지 모르겠습니다만 보는 내내 최대한 쉽게 이야기를 풀어내려고 노력한 영화로 완급조절이 굉장히 잘된 영화입니다.

 

2. 실화를 배경으로 한 영화


빅쇼트, 즉 공매도는 가격이 올랐을 때 수익이 나는 것이 아니라 가격이 하락을 해야 수익이 나기 때문에 주인공들은 수익이 났음에도 불구하고 웃을 수 없습니다. 이들이 베팅을 한 것이 성공한다는 것은 미국의 경제가 붕괴된다는 말이기 때문이죠.

2001년부터 지속된 저금리로 은행으로 수익을 올리기 위해 신용도가 낮은 사람들(이주민, 실업자, 스트릿댄서 등)에게도 주택을 담보로 대출을 내주었습니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파생상품까지 만들어 내어 은행은 수익을 올리기에만 급급했고 사람들은 공짜 돈이라는 생각에 대출에 대출을 거듭해서 냅니다. 이 모든 것이 가능했던 것은 저금리였기에 가능했고 아무도 하락을 의심하지 않은 상황에서 주인공은 이렇게 말합니다.

"지금처럼 계속 저금리에 집값이 오르기만 할까?"

무서울 줄 모르고 치솟은 부동산 가격에 은행들은 대출이자로 엄청난 수익을 내고 있고 이민자와 직장이 없는 노숙자들까지도 주택담보대출을 내어 대출을 또 다른 대출로 메꾸는 그야말로 버블이 가득한 상황, 정말 언제 터져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에 모든 투자는 상승이 있으면 하락이 있다는 것을 알지만 실제로 그 시기를 맞추기는 쉽지가 않습니다. 하지만 영화 속 주인공들은 그 시기를 간파했고 커다란 수익을 낼 수 있었죠.

이 상황이 어색하게 느껴지지 않는 것은 현재 우리나라의 상황과도 닮아있다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겠죠. 코로나 사태로 인해 2년간 주식, 부동산이 굉장히 붐이 일었고 '무엇을 사도 수익이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상승장이었습니다. 그런데 요즘 주식, 부동산은 굉장한 하락기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하락 속도가 늦은 부동산마저도 심심치 않게 하락 소식이 들려오고 있는데 제가 살고 있는 지역도 아파트 청약권이 마이너스 피에 거래되는 등 "언젠가" 올 것이라 예상했던 하락기가 도래한듯합니다.

미국 역사상 2차 대전 이후로 최대의 침체기라는 금융사태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영화로 경제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이라면 꼭 추천하고 싶은 영화입니다.

 

3. 총평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봤던 영화가 끝이 났지만 그 여운이 오래 남는 영화입니다. 빅쇼트 영화는 한 명의 배우가 이야기를 이끌어 가는 것이 아니라 여러 명의 주인공이 출연해서 다양한 시각에서 한 가지 사건에 대해 이야기를 진행합니다. 제대로 이 시기의 미국 경제를 비판하는 영화라고 할 수 있죠.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인해 수많은 사람이 처벌을 받을 것이라 예상했지만 실제로 감옥에 간 사람은 단 1명뿐이었습니다. 미국 경제가 붕괴했고 수많은 사람들이 집을 잃고 실업자가 발생한 사태인데 처벌자는 1명이라니 정말 충격적이지 않나요? 실화이기 때문에 더 충격적으로 다가오는 이 영화는 줄거리 자체는 큰 사건을 배경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단순하지만 그 결과가 어떻게 되었는지 알기 때문에 생각이 많아지는 영화입니다. 경제 이야기라서 어려워서 별로라는 평도 있습니다만 개인적으로는 별점 4점이 아깝지 않은 영화로 킬링 타임용 영상으로 추천합니다.


728x90
반응형